
위치
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 1~37번지.
예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산 42~76번지
였다가 2000년 4월 1일 독도리로 변경되었습니다.
-소유권
大韓民國 해양수산부
-지리적 위치
동도 북위 37° 14′ 12″ 동경 131° 52′ 07″ (독도
삼각점 기준, 삼각점-독도11)
서도 북위 37° 14′ 19″ 동경 131° 51′
51″(2001.8. 건설교통부 국립지리원 측량자료기준)
|
|
-거리상의 위치
울릉도에서: 동남쪽 89.493km
한반도 본토에서: 경북 울진군 죽변면 직선거리 220.354km
일본에서: 제일 가까운 시마네현 오끼섬 약160km
(결국, 일본의 오끼섬보다 한국의 울릉도가 약68km
가가워요!!)
-독도의 지형
독도는 동도와 서도 2개의 주섬과 주변의 33개의 작은
암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각각의 암초들은
물개바위, 독립문바위, 촛대바위, 얼굴바위 등 각각의
생김새에 따라 이름이 다양하게 불리워지고있습니다.
-독도의 구성
독도 : 면적 : 185,059.01㎡
동도 : 면적 : 71,757.05㎡
서도 : 면적 : 87,848.52㎡
-기타 돌섬 및 암초 면적 : 25,453.44㎡
-동서도는 110m ~ 160m사이를 두고 있으며 수심 10m, 길이
330m에 걸쳐 있습니다
-독도 전체면적은 가로400m, 세로400m 가량의 크기로
동도와 서도를 비롯한 33개의 부속 섬과 암초를 포함한
총면적은 0.186㎢로 서울 여의도 광장의 절반 정도입니다.
|
|
|
년 도
|
연 표
|
512
|
(신라 지증왕 13년)
이사부 우산국 정벌
신라영토에 귀속시킴
|
930
|
고려태조 13년 고려에 귀속
|
1401
|
*공도정책
|
1425
|
우산도로 호칭
1452 (단종2년)에 완성된 세종실록중 권 148권에서
권 155까지의 8권 8책에 지리지로써
세종실록지리지라고도 하는데 권 153강원도
울진현조에 그 부속도서로써 우산도와 무릉도를
열거하고 이들의 개략적인 위치를 우산, 무릉2도
재현 정동해중 2도 相距不遠 風月淸明卽望이라고
기록되어 있다. 이 역사기록은 독도와 울릉도의
관계를 뚜렷이 밝힌 세계 최초의 문헌으로
평가되며 세종 14 년(1432년)에 편찬된
신선입도지리지를 그대로 옮긴 것이라고 머리에
밝히고 있다.
|
1469
|
삼봉도로 호칭
1693 자산도로 호칭 동래 어부 안용복이
울릉도 근해에서 왜인발견퇴거
*안용복이 은기를 거쳐 도일 덕천관백에게
출어금지서계 징구 울릉도 일본어민 퇴각
|
1697
|
3년마다 정기적인 치안 확보
|
1881
|
(고종18년) 울릉도 개척령
반포 (척민정책) 일본어민의 울릉도 근해 출어에
대한 일본정부에게 엄중항의
|
1900
|
10월 27일 (대한제국 광무4년)
관보 제 716호의 칙령 제41호 울릉도, 즉도 석도(독도)를
울릉군수가 관할토록 함.
|
1905
|
2월 22일 독도의 일본령
편입결의 도금현 고시 제40호로 독도의 동현편입
발표
|
1907
|
경삼남도 울도군으로 편제
|
1910
|
한국수산지 제1호 제1편에
한국령으로 표기
|
1914
|
경상북도 울도군으로 편제
|
1946
|
1월 29일 SCAPIN 제677호 -
연합군 최고사령관이 항복문서의 시행을 위해
일본정부에 보낸 각서에서 울릉도, 독도,
제주도를 일본의 통치권에서 제외
|
1948
|
6월 30일 미공군 폭격연습중
독도출어중인 어민 30명 희생 한국정부의 항의에
따라 1953. 2,27자 미공군 연습기지에서 제외 1951년 6월
독도 조난어민 위령비 건립
|
1952
|
인접해양의 주권에 관한
대통령 선언사 독도를 기점으로 평화선을 선포함
|
1953
|
일본이 미국기를 게양,
조난어민 의령비 제거, 일본영유 표지 설치, 한국
어민 독도근해조업에 대한 항의. 이에 대해 한국
정부는 일본에 항의각서 발송 그해 8월 5일 영토비
건립, 해양경비대 파견 협의
|
1953
|
4월 27일 울릉도 주민(33명)으로
구성된 독도의용수비대 창설 (대장 : 홍순칠)
|
1956
|
4월8일 국립경찰의 경비임무
인수결정
|
1956
|
12월 30일 경비임무 인계인수
1966년 4월 12일 수비대장 홍순칠 공로훈장 수여
|
1980
|
최종덕 독도 전입
|
1981
|
헬리콥터 이착륙 시설 설치
|
1986
|
7월8일 동인의 사위 조준기(61.
3. 20 생) 주민등록 전입 (가족 3명) 6개월간
어로작업목적
|
1991
|
11월 17일 김성도(56세) 외
가족 (1명) 전입(서도) 울릉경찰서 독도경비대 32명
근무 (동도)
|
1993
|
레이더 기지 설치
|
1996
|
접안시설공사 착공
|
1997
|
울릉읍 독도리에
독도박물관 건립
|
2000
|
행정구역상 주소를
경상북도 울릉군 독도리 산1~산37로 변경
|
|
|